인공지능 시대, 코딩은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입니다

코딩은 미래를 지배하는 기술의 언어, 당신의 가능성을 열어줄 열쇠입니다.

반응형

전체 글 2911

사고력 수학 - 복면산 연산1

복면산 연산이라는것은 가면을 쓴것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복면산 연산은 어떤 수에 가면을 씌워서 안보이게 가려 놓고 그 수가 무엇인지 궁금증을 유발해서 그 수를 찾아 보게 하는 방법이랍니다. 우리도 실제 생활에서 가면을 쓴사람을 만나면 그 사람의 진면목이 무엇인지 무척이나 궁금해 지겠죠^^ 오늘은 가면을 쓴 숫자를 찾아보는 연습을 해 볼께요. 다음에 숨겨진 수를 찾아 보세요. _ __A4B + C6D3 --------- _ EF127 과 같이 어떤 숫자들이 문자의 가면을 썼는데요. 그 문자의 뒤에 숨어져 있는 숫자를 찾아 보시는 거예요. 서로 다른 문자의 뒤에 같은 숫자가 숨어 있을 수도 있어요. 한번 실제로 숨어 있는 숫자가 무엇인지 찾아 보시겠어요? (정답은 ABCDEF 값으로 적어..

사고력 수학 - 규칙적인 수를 찾아 보자 3

지난시간에 규칙적인 수를 찾아 보았는데요. 2019/12/19 - [생각수학/초등 3학년] - 사고력 수학 - 규칙적인 수를 찾아 보자.1 2019/12/20 - [생각수학/초등 3학년] - 사고력 수학 - 규칙적인 수를 찾아 보자2 오늘은 지난시간에 배운 수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 보도록 할께요. 길동이는 어느 고대 동굴에서 벽화에 씌어진 글자 중에서 다음과 같은 수열을 발견했는데요. 1,2,3,2,4,6,3,6,9,4,8,12... 이러한 수열을 발견했어요... 길동이는 이러한 수열에서 하나의 규칙을 발견했는데요. 그렇다면 여러분은 여기서 수열의 규칙을 찾아 보시고... 100번째에 나오는 수열의 값이 무엇인지 맞혀 보시겠어요? 정답) 더보기 수열에 다음과 같이 () 를 씌워 볼께요. (1,2,3),..

사고력 수학 - 규칙적인 수를 찾아 보자2

길동이는 일상 생활에서 다음과 같은 수들이 나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1,2,4,8,16,32,64... 3,9,27,81... 이렇게 일정한 규칙으로 나열된 수들을 수열이라고 하는데요. 위와 같은 규칙은 일정한 비율로 증가 되는데... 첫번째 수열은 2의 배수이고 두번째 수열은 3의 배수로 증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수열을 등비수열이라고 처음 시작하는 수를 초항이라고 하며 배수로 증가하는 부분을 공비라고 합니다. 이렇게 n번째 항을 구하고 싶을때는 초항 x 공비^(n-1) 와 같이 구해 볼수가 있는데요. 이러한 수열을 연구하는 목적은 그 안에 있는 규칙을 발견하여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 위함입니다. 그렇다면 다음의 수열의 규칙을 찾아서 () 안에 값을 채우고 초항과 공..

사고력 수학 - 규칙적인 수를 찾아 보자.1

길동이는 일상 생활에서 다음과 같은 수들을 찾아 볼 수 있었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2학년,3학년,4학년,5학년,6학년, 나이가 1살,2살,3살,4살,.... 이렇게 일정한 규칙으로 나열된 수들을 수열이라고 하는데요. 위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하는 수열은 등차 수열이라고 합니다. 처음 시작하는 1학년, 1살 등과 같은 수를 초항이라고 하며 1살 과 2살 사이의 거리 1을 공차 라고 합니다. 이렇게 초항과 공차를 찾으면 n번째 수를 찾는 경우 다음과 같이 찾아 볼 수 있는데요. 초항 + 공차 * (n-1) 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초항이 1이고 공차가 1인 수열 중 45번째의 수는 1 + 1 x 44 = 45 가 되는데요. 이러한 수열을 연구하는 목적은 그 안에 있는 규칙을 발견하여 ..

사고력 수학 - 나무심기 2

길동이는 정사각형 운동장의 둘레에 나무를 심으려고 합니다. 운동장의 한변은 90m 입니다. 길동이는 나무가 잘 자라게 하기 위해 나무 간격을 10m 씩 주려고 합니다. 그렇다면 길동이는 나무를 몇그루 사와야 할까요? 혹시 한변에 10그루 심어 지니까 10 x 4 = 40그루야 라고 생각하신 분 계신가요? 한번 그림을 그려 볼께요. 보이시나요? 한변에 9 그루씩 x 4 = 36 그루를 심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사각형 또는 원과 같은 형태로 처음 시작점이 마지막 끝점이 되는 경우는 심은 그루수는 구간 수와 같게 됩니다. 그렇다면 다음의 문제를 풀어 보세요. 정사각형 운동장에 한변에 19그루씩이 심어져 있고 각 모서리를 보니 네꼭지점에 모두 나무가 심어져 있었다면 운동장 테두리에 총 몇그루의 나무가 심어져..

사고력 수학 - 나무심기1

길동이는 길에서 자신의 집에 들어가는 양쪽 길가에 나무를 심으려고 합니다. 길에서 연결되어 있는 자신의 집까지의 거리는 90m 입니다. 길동이는 나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나무와 나무 사이의 간격을 10m 간격으로 띄워서 심으려고 합니다. 길동이가 나무를 심기 위해서 사와야 하는 나무는 모두 몇그루일까요? 여기서 흔히 하기 쉬운 실수는 한변에 90m 이므로 한쪽 방향에 심을 수 있는 나무 그루 수를 9그루로 세는 경우가 있는데... 한쪽 방향에 심을 수 있는 나무 그루수는 10그루가 됩니다. 처음 0m 지점에 1그루, 10m 지점에 2그루, ... 90m 지점에 10그루 가 됩니다. 따라서 총 20그루를 사와야 하는데요... 그렇다면 다음의 문제를 풀어 보세요. 도로 옆에 10m 간격으로 나무가 한그루씩..

사고력 수학 - 계단 오르기

길동이가 계단을 오르는데 한 계단을 오르는데 1분이 걸렸습니다. 그렇다면 1계단부터 100계단까지 올라가는데 몇분이 걸리겠습니까? 단, 100계단까지 올라가는데 지치지 않고 한계단을 올라가는 시간이 동일하다고 가정을 합니다. 혹시 속으로 100분 아니야? 라고 생각하셨나요? 1계단에서 2계단 오르는데 2분이 걸리는 것이 아니라 1분입니다. 시작하는 계단이 1계단 위치라는데서 고민을 해 주어야 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1계단 부터 100계단 올라가는 시간은 100분이 아니라 99분입니다. 이와 비슷한 문제를 풀어 보도록 할께요. 길동이가 1층부터 10층까지 계단을 걸어 올라갑니다. 길동이가 1층부터 3층까지 계단의 수를 세어 보았는데 30계단이었습니다. 그렇다면 길동이가 1층부터 10층까지 걸어 올라간 계..

사고력수학 - 나눗셈의 신기한 계산

나누어지는 수와 나누는 수에 같은 수를 곱해도 몫은 변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해서 간단히 계산 할 수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수를 계산해 볼께요. 44000 / 125 를 위와 같은 공식으로 계산을 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44000 x 8) / ( 125 x 8 ) = 36000 / 1000 = 36 이렇게 나누어지는 수에 8 을 곱하고 나누는 수에 8을 곱해서 계산을 해 줄 수 있습니다. 곱셈에서는 나누는 수를 10의 제곱수가 되도록 만들 수 있다면 이렇게 계산을 하는 것이 빠르게 계산을 할 수 있겠네요. 그러면 다음을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계산해 보세요. 3300 / 25 = ? 정답) 더보기 (3300 x 4) / (25 x 4) = 13200 / 100 = 132

사고력 수학 - 짝수에 15를 빠르게 곱하기

15 는 10 + 5 가 됩니다. 어떤 수 N에 15를 곱하면 다음과 같은 형태가 가능합니다. N x 15 = N x (10 + 5) = N x 10 + N x 5 여기서 지난번에 N x 5는 N을 2로 나눈 값에 0 을 하나 붙여 주는 것을 보았는데요. 2019/12/12 - [생각수학/초등 3학년] - 사고력 수학 - 신기한 곱셈 계산(짝수 x 5) 이렇게 하니 어떤 수에 15를 곱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네요. 어떤수 N 의 뒤에 0 을 하나 붙이고 N을 2로 나눈 수에 0을 붙인 수를 더하면 되겠네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174 x 15 = 174 x 10 + 174 x 5 = 1740 +870 = 2610 간단하게 풀리는 것이 이해가 되시나요? 그렇다면 다음의 문제를 풀어 보세요. 888 ..

사고력 수학 - 신기한 곱셈 계산(한수에 11 곱하기)

어떤 수에 11을 곱할때는 그 수의 처음과 끝으로 하고 각 두자리 수의 합을 곱셈값의 중간 수로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12345 x 11 = 12345 + 123450 = 135795 가 되는데 이것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맨 첫자리와 맨 뒤의 자리는 처음 수로 놔두고 중간 수는 두 수의 합을 구해서 계산을 해 주면 됩니다. 그렇다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다음을 계산해 보세요. 456789 x 11 정답) 더보기 5024679 값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중간 값을 더하면서 올림이 발생할때 올림을 해 주면 됩니다.

반응형